
석사과정의 여정이 끝나고...
공부한 나날들을 돌이켜 보면 유치원때가 제일 힘들었고(받아쓰기 빵점), 그 다음에 초등-중등-고등-학사 지금의 석사까지 꾸준히 쉬워졌다. 누군가는 점점 더 어려운 공부를 하는데 말이 되는 소리냐 하겠지만, 사유와 탐구의 재미를 알고나니 '다 때려치고 공부만 하고 싶다'라는 말을 체감하게 된다. 이러한 반전은 무엇보다 석사과정에서의 경험이 중요했다고 느낀다.
1. 좋은 운을 타고 나서, 흥 많고 열정 넘치는 기수의 구성원이 되었다. 앞장서는 리더들이 많아 고마움을 느끼며 함께 걸으면 되었다. 2. HRD와 교육공학 분야의 선두주자인 송해덕 원장님을 지도교수님으로 만났다. 겸손하고 차분하게 한 발씩 닮아가야지. 3. 공부한다고 하면 '다 봐주는' 든든한 지원군인 회사에서 근무했다. 공부에 시간 쏟는 만큼 더 쓸모있는 직원이 되고자 노력했다. 감사할 사람이 많다. 소회는 여기서 마치고, 결론은 4.45(99.5/100) 로 졸업!

나는 박사진학에 성공했기 때문에 석사모를 날림과 동시에 박사과정에서의 일정을 맞이해야 한다. 바로 다음 날 동안거(冬安居)(박사 프로포절)가 있다. 공백같은 거 없다. 이게 바로 중대의 학습 서타일.
23년 2월에 석사 신입생 OT 마치고 동안거가 뭔지, 하안거가 뭔지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렸던 기억이 난당. 이제는 Chat GPT한테 동안거가 뭐냐 물으면 내가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을 안내해준다. 구독자 2명인데 조회수 꾸준히 나오는 이유. 업데이트해라 GPT야, 2025년 주제는 "Changing the Way We Work"다. WWW.일하는 방식의 변화


특강 듣다가 속이 답답하다가 화가 날 것 같으면 노션(Notion)에 연구주제로 정리해놓고 있다. 궁금하고 설레는 이야기들은 대부분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고, 나는 분노를 먹고 사는 사람이라 잘못된걸 고치거나(fix), 바로잡는 것에 집중해보고 싶었다. 아마도 그래서 운명처럼 석사졸업에 toxic leadership이 많은 이들의 반대를 무릎쓰고 출현한 것이 었을까.
암튼 요즘은 핵심인재의 이직률을 높이는 리더의 하향질투, 배지 수집을 통한 스킬 성장 증명의 한계와 데이터 기반 성과 증명 프로세스 같은 것들을 생각하고 있다. 한 달 전에는 분명 다른 주제들이었는데, 배움을 더 할 수록 연구하고 싶은게 늘어서 머리가 바쁘다.
참, 진학 전까지 파이썬을 마스터하겠다고 당차게 다짐했는데, 3일 특강 듣고 기초테스트 덤볐다가 260/1000점 맞았다. 뭐 이것도 20년 뒤에는 잘 하겠지? 암튼 점수를 보고 어이가 없어서 잠깐 어지러웠던 기억이 난다. 까막눈이란 게 이런거구나, 논문 처음 볼 때도 그랬지, 하면서 웃고 말았다.
배워야할게 많아서 좋은 날들이다.
'생각 상자 > HRD 연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인탐색] HRD에서의 가용성 오류 해소: Role-playing 기법을 통한 접근 (3) | 2025.02.14 |
---|---|
[변인탐색] 직장 내 하향질투의 심리적 원인과 극복 방법 (0) | 2025.02.13 |
Donald L. Anderson - Organization Development Chapter15. Global Issues in OD (1) | 2025.01.02 |
[조직진단] Weisbord의 Six-Box model (2) | 2024.12.22 |
[프로포절/석사] 소명의식이 주도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