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휴시설을 활용한 랜드마크 조성 사례
국내 유휴시설을 활용한 랜드마크 추진 사업
- 지역의 랜드마크 사업은 유휴공간의 활용과 더불어 문화재생과 지역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효과성을 앞세워 시도되고 있음
- 단순히 유휴공간이라는 것은 랜드마크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며 공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오랜 역사에 담긴 이야기와 세월의 흔적을 통해 그 공간만이 지닌 독자적인 이야기가 전제되어야 함
- 민관의 개발노력과 최적의 입지조건, 역사적 맥락과 정체성에 대한 공감 등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사업의 방향성을 유추해볼 필요가 있음
국가 | 프랑스 |
시설명 | 복합문화공간 Hangar Y(앙가르 Y) |
(구)시설여건 | 격납고 Y(격납고가 위치한 군사 구획 코드) 1879년 파리 만국 박람회의 기계 갤러리로 지어졌으며 에펠탑을 지은 구스타프 에펠의 스승 앙리 드 디옹이 디자인 선진국이었던 프랑스의 위용을 자랑하듯 길이 70m, 높이 23m의 규모 세계 최초의 비행선(airship) La France의 탄생 장소이자 격납고로 활용 세계 1차 대전에서 연합군이 승리하자 프랑스의 승전을 기념하는 항공 우주 박물관이 되었으며 박물관이 르부르제 공항 부지로 이전하면서 40년 방치 |
현황 | 1990년 이후 역사적 건축물의 재활용을 고민하며 역사적 기념물로 등재 국가와 민간 업자가 계약을 맺고 문화유산을 장기 임대하여 수익 사업을 진행한 프랑스 최초의 사례 시민들의 휴식장소인 숲에 위치하여 프랑스식 정원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접근성이 높아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춤 시민들이 언제든 방문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예술 전시는 물론 음악 공간, 요가 클래스 등 다양한 체험행사 제공 |
국가 | 영국 |
시설명 | 고가도로 하부 공간 개발사업 Westway Trust Development |
(구)시설여건 | 도시 북부를 가로지르는 A40번 고가도로는 흉측한 구조물로 거주민들에게 소음과 공해뿐만 아니라 구조적 단절이라는 문제를 안겨줌 자연환경적 요소 뿐만 아니라 주거환경 및 지역환경의 파괴로 한 지역이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 간 빈부격차 발생 고가도로 공사가 시작될 무렵부터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시위가 시작되면서 고가도로를 이용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고안함(지역조합의 탄생) |
현황 | 생활체육 활동을 지원하는 스포츠 시설 지역주민을 위한 실용 교육 공간 지역의 문화 예술 관련 종사자들을 위한 공간 상업적 이익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공간 직업 기술을 배우는 공간으로 활용되면서 고가도로를 따라 플리마켓과 상점이 활성화됨 |
국가 | 독일 |
시설명 | 인젤 홈브로이히 박물관 Museum Insel Hombroich |
(구)시설여건 | 1980년 중반 섭립된 이곳은 前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군사시설이 자리하던 곳으로 로켓 발사 기지와 군수품 창고로 사용됨 에푸르트 강가에 위치한 홈브로이피 박물관은 관광객이나 타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이 방문하기에 굉장히 접근성이 떨어짐 |
현황 | 1993년 이후 기지가 폐쇄되며 뮐러가 유휴공간을 매입 부동산 개발업자이자 미술품 컬렉터인 칼 하인리히 뮐러에 의해 지어졌으며 본래 자신이 유럽과 아시아 곳곳에서 모은 소장품들을 전시하는 미술관으로 시작했고, 이후 예술가들의 스튜디오와 주거공간 그리고 콘세트 홀 등을 조성 신진 아티스트 지원, 지역주민을 위한 음악페스티벌, 지역의 유기농 식자재를 이용하여 지역사회와 직접적인 교류 |
국가 | 캐나다 |
시설명 | 토론토 아트스케이프 Toronto Artscape |
(구)시설여건 | 1980년대 토론토 경제가 부흥하며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기존 정착민들의 내몰림 현상이 발생하여 도시 내부에 버려지고 방치된 유휴공간을 활용함 |
현황 | 대표적인 공간으로 아트스케이프 증류주 공장 스튜디오와 아트스케이프 위치우드 목장으로 기존 부지와 건물을 그대로 매입해 개조함 50,000제곱피트의 넓은 부지를 활용해 다양한 예술활동이 이뤄지며 조각, 목공예, 오페라, 댄스, 회화, 연극, 패션쇼 등 가능한 모든 장르를 망라한 종합 예술의 공간이 탄생 때로는 기업의 판촉 행사장소로 활용되며 시민들의 결혼식, 지역의 축제가 열리는 등 모든 종류의 이벤트를 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 유휴공간 활용의 성공적인 사례일 뿐만 아니라, 문화 시설 개발을 통한 상업적 이윤 창출과 문화예술 지원 사업이 병행되는데 있어 각 이해관계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선순환구조의 모델을 보여줬다는 점이 특별함 |
우리나라 랜드마크 사업의 현재
- 민간차원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유휴공간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음
- 7-80년대 산업화를 기점으로 부지기수로 올라갔던 건물은 안전상의 이유로 비워지고 있으며 유휴공간의 활용에는 사회적비용과 빈 공간을 채우는 일이 커다란 문제로 작용하고 있음
-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제안은 많으나 실제 사례로 남겨지는 것이 드문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며 정책과 제도, 랜드마크 구성특성, 대상지의 정체성과 재탄생 목적 등이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임
-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수긍할 수 있을 만한 시설과 활용방안 마련
- 오랜 시간 프로젝트를 이어갈 수 있는 지원책과 보조
- 공공의 목적으로 개발하고 지역 사회 구성원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공간 지향
- 공공의 목적이 아니더라도 새로이 사람을 집합하게 만드는 신선한 채널로 변모
- 지역 사회 소통 창구, 커뮤니케이션의 채널 지향
'생각 상자 > 생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 상품 판매관리 템플릿 Notion Sales management system (0) | 2024.02.12 |
---|---|
[중소기업 특성화 인력양성 캠프] 조직커뮤니케이션 & 진로설계 및 중소기업 취업마인드 (0) | 2024.01.30 |
[폐교활용] 유휴시설을 활용한 지역문화공간 조성 사례 (1) | 2023.12.24 |
산양삼의 효능과 재배현황 (feat.거창산양삼) (2) | 2023.08.28 |
문화재의 속성에 따른 분류 및 현상변경 허용기준 (5)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