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spring brown bag의 주제는 "Changing Leadership for Better Workplace"이다. 운 좋게 마음에 드는 주제의 아티클을 할당 받아 퍼실리테이팅을 하게 되었다. 이번 브라운백을 준비하면서 이전에는 청자로써 감명을 받았다면, 이번에는 보다 깊숙이 연구내용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아티클 선정의 맥락과 의도에 또 한번 감명을 받았다. 브라운백이라는 중대의 자랑스러운 학습시스템이 쉬이 운좋게 자리잡은 것이 아님을 실감할 수 있었다. 교수님과 조교님, 학술국장님, 원우회 모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38기 중앙대 GHRD 석사 선생님들과 3/29일 진행되는 두 번째 발제를 맡았다.
논문제목 | 학술지 |
What makes a great leader? Mastering the ABCs of innovation at scale | Harvard Business Review, Summer 2024. |
The science of leadership: A theoretical model and research agenda |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2022, 9. |
Motivation to lead: A meta-analysis and distal-proximal model of motivation and leadership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20, 105(4). |
대략 아래와 같이 한달여에 걸친 준비과정을 설계하였는데, 일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마지막 주에는 실시간 수시 소통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아티클을 이해하고 정리하는 것 만큼 함께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정 관리, 온라인 시스템 점검, 피드백 방식 등 중요하게 신경써야 할 것들이 많았다. 특히, 석사과정 선생님들의 자료를 어디까지 개입할 것인지 많이 고민되었는데, 결국 마지막까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 피드백을 나누고 개별적 역량의 한계는 단시간에 개선하기 어려운 것으로 단념하는 수 밖에 없었다.
정성을 들이다보니 하고 싶은 말이 많아져서 분량을 조절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 자르고 자르다가 결국 chat GPT한테 어레인지를 부탁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는 무엇보다 '내 공부'가 많이 되었다. 리더십에 대한 재정의, 리더십을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 등 시야가 많이 확장된 느낌이 들었고, 연구주제 수집을 위한 Notion에 새로운 보드 하나를 생성할 수 있었다.
FT 발표자료
세 가지 아티클은 공통적으로 불확실하고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기존의 리더십 연구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리더십 연구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 변화무쌍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재정의하고, 리더십의 본질과 기능을 탐구해야 한다는 점은 향후 리더십 연구의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리더와 구성원이 함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다음 학기에도 FT를 할 기회가 주어지겠지? 막연했던 이번 준비과정을 돌아보며 그 때는 좀 다를까, 스스로에게 기대를 해본다. 고생 많았다. 이제 다음 과제를 준비하러...총총총
'생각 상자 > HRD 연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전략세미나] chap3. 경영전략논쟁사 '포지셔닝의 대발전(1960~80년대)' (2) | 2025.03.28 |
---|---|
[변인탐색] 리더포비아: 핵심 인재들이 리더십을 기피하는 이유와 해결책 (1) | 2025.03.26 |
[중앙대HRD] 석사졸업, 박사과정 진학 그리고 동안거까지! (0) | 2025.02.18 |
[변인탐색] HRD에서의 가용성 오류 해소: Role-playing 기법을 통한 접근 (4) | 2025.02.14 |
[변인탐색] 직장 내 하향질투의 심리적 원인과 극복 방법 (0) | 2025.02.13 |